손절이 힘든 사람들을 위한 손절매 원칙 설정법
1. 손절이 어려운 이유 – 왜 우리는 손해를 감수하려 할까?
주식을 하다 보면 손실이 나도 “조금만 더 기다리면 오를 거야” 라는 생각에 쉽게 손절을 못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하지만 대부분 이런 경우는 더 큰 손실로 이어지죠.
Contents
✅ 손절이 어려운 이유:
-
손실 회피 심리: 손해를 인정하고 싶지 않음
-
회복 기대 심리: “조금만 기다리면 다시 오를 거야!”
-
과거 경험 착각: “예전에 버텼더니 올라왔잖아?”
-
확신 부족: 매수 근거 없이 감으로 투자
이런 심리적인 함정을 극복하려면 명확한 손절 원칙을 세워야 합니다.
오늘은 프로 트레이더들이 사용하는 효율적인 손절매 원칙을 소개합니다.
2. 초보 투자자가 반드시 지켜야 할 손절 원칙 3가지
(1) “무조건 3~5% 손절” – 감정 개입 없는 기계적 손절
✅ 손절 매뉴얼 예제:
-
매수 후 주가가 3~5% 하락하면 무조건 손절
-
이유를 만들지 말고 기계적으로 실행
-
손절 후 다른 종목 기회 탐색
💡 이 원칙이 중요한 이유?
✔ 손실이 커지기 전에 빠른 대응 가능
✔ 감정 개입 없이 매매 원칙을 지킬 수 있음
✔ 작은 손실을 감수하면 큰 기회를 잡을 수 있음
🚨 주의할 점
❌ 변동성이 큰 종목에서 너무 타이트한 손절(1~2%)은 불필요한 매도 유발 가능
❌ 손절 후 다시 매수하는 “복구 매매” 금지 (손실이 커질 확률 높음)
(2) “매수 전 손절가를 정한다” – 계획 없는 매수 금지
✅ 매수 원칙:
-
매수하기 전에 손절가를 먼저 설정
-
“이 가격 아래로 가면 손절!”을 미리 정해둠
-
매수 후에는 손절 원칙을 절대 변경하지 않음
💡 이 원칙이 중요한 이유?
✔ 매수 후 고민 없이 즉각적인 대응 가능
✔ 감정적인 실수를 방지할 수 있음
✔ 손절 후에도 흔들리지 않고 다음 기회를 노릴 수 있음
🚨 실전 예제
-
삼성전자(70,000원) 매수 → 손절가는 67,900원 (-3%)
-
네이버(180,000원) 매수 → 손절가는 174,600원 (-3%)
-
주가가 손절가에 도달하면 망설이지 말고 바로 매도
(3) “하루 손실 한도를 정한다” – 계좌를 지키는 방법
✅ 손실 한도 설정법:
-
하루 최대 손실 한도: 총 자산의 1~2%
-
한도 도달 시 그날은 더 이상 매매 금지
-
감정적인 복구 매매 방지
💡 이 원칙이 중요한 이유?
✔ 하루 종일 손실을 보며 매매를 이어가지 않음
✔ 감정적인 충동 매매를 막아줌
✔ 일정 금액 이상 잃지 않도록 계좌 보호
🚨 주의할 점
❌ 손실 한도 도달 후 “한 번만 더!” 같은 심리는 절대 금지
❌ “내일 만회하면 되겠지”라는 생각도 버려야 함
3. 프로 트레이더들이 사용하는 손절 매매 기법
(1) 이동평균선(MA) 손절 기법 – 추세 이탈 시 손절
✅ 손절 원칙:
-
매수 후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(MA20) 아래로 내려가면 손절
-
강한 상승 추세의 경우 5일 이동평균선(MA5) 이탈 시 손절
💡 이동평균선 손절법 예제
-
카카오(100,000원) 매수 → 20일 이동평균선이 98,000원이라면 손절가 97,500원 설정
-
주가가 97,500원 이하로 떨어지면 손절 후 다음 기회 탐색
🚨 주의할 점
❌ 이동평균선을 맹신하면 안 됨 (시장 상황 고려 필요)
❌ 손절을 설정했으면 다시 진입하려고 고민하지 말 것
(2) 지지선(서포트 라인) 손절 기법 – 주요 가격대 이탈 시 손절
✅ 손절 원칙:
-
주가가 과거 지지선을 이탈하면 손절
-
지지선이 무너지면 급락 가능성이 높음
💡 실전 예제
-
현대차(200,000원) 매수 → 최근 지지선이 195,000원이라면 손절가 194,000원 설정
-
주가가 194,000원 이하로 내려가면 즉시 손절
🚨 주의할 점
❌ “지지선을 깨도 다시 올라올 거야!”라는 희망적 사고 금지
❌ 지지선이 깨졌다면 무조건 손절하고 다음 기회 탐색
(3) 트레일링 스탑(Trailing Stop) – 수익 보호형 손절
✅ 손절 원칙:
-
주가 상승 시 손절가를 자동으로 올려서 수익 보호
-
일정 % 하락하면 자동 손절
💡 실전 예제
-
삼성전자(80,000원) 매수 → 5% 트레일링 스탑 설정
-
주가 상승 시 손절가도 자동 상승 (85,000원이 되면 손절가는 80,750원)
-
손절가 도달 시 자동 매도
🚨 주의할 점
❌ 변동성이 큰 종목에서는 너무 타이트한 손절(2~3%)은 비효율적일 수 있음
4. 손절 후 멘탈 관리 – 손절이 끝이 아니다!
✅ 손절 후 해야 할 것
-
손절 이유를 복기하고 기록하기 (매매 일지 작성)
-
무리한 복구 매매 금지
-
손절 후 시장을 다시 분석하고 전략 수정
🚨 손절 후 하지 말아야 할 행동
❌ “다시 들어가면 복구할 수 있어!” (감정 매매 금지)
❌ “손절 안 했으면 벌써 회복했을 텐데…” (후회 금지)
❌ “이 종목 다시는 안 봐!” (냉정한 분석 필요)
5. 결론 – 손절은 매매의 일부다
✔ 손절이 어려운 이유는 심리적인 요인이 크다
✔ 명확한 손절 원칙을 세우고, 감정 개입 없이 기계적으로 실행해야 한다
✔ 손절 후 복구 매매를 하지 말고, 다음 기회를 준비해야 한다
💡 매매 원칙이 없다면 돈을 지킬 수 없습니다.
✅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곧 장기적으로 수익을 내는 방법입니다!
美 24세 잭 켈로그 2년 만에 100억 벌어, 그가 말하는 4가지 거래 지표
※ 본 포스팅에는 쿠팡파트너스 제휴 마케팅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